d0014962_15415848.jpg

어떻하면 효과적으로 게으를수 있을까가 인생의 메인테마

게으름에 빙의된 나에게 가장 필요한것은 미루지 않기 또는 냅다 실행하기 능력이다. 보통 이렇게 미루기가 내재화 되기까지의 심리적 기작의 바탕에는 자신 내부에 해야할 일을 꼼꼼히 숨겨 두기 때문이란다.

1. 마감에 쫓기는 인생
항상 되풀이되는 일이지만, 일을 다 마치지 못하면 발뻗고 자지도 못하는 소인배 주제에 그 불안이 쌓이고 쌓여 폭발하기 직전에 쌍코피 휘날리며 날벼락치는 일은 10대이후로 계속 되온 셈이다. 때문에 내 깜냥을 충분히 발휘 못하고, 주관적인 평가로도 항상 낙제만 면하는 결과물만 쌓아왔다.

이런 늪에 빠지게 되는 주요 이유중 하나는 불안과 공포 때문이라고, cyblog.jp의 오하시는 설명한다.

불안하면서도 일을 미루는 반응은 이상하지만 또한 당연하다. 왜냐하면 일을 보류하는 것은 실패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있기 때문이어서, 불안이 쌓일수록 보류하는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해법은 마감에 기대는 것이다. 왜냐하면, 마감의 공포가 실패의 공포보다 더 즉각적이니까. 보통 인간은 근심이 없으면 무언가 하지않는 법인데, 마감이라는 구체적인 근심/공포가 뚜벅뚜벅 다가오면 무섭기도 하지만, 아직 시간이 남았으니까 하면서 무언가 생기겠지하는 기대를 갖는단다(마자마자) 또한 '이런 식으로 아니 저런식으로 하면 상당한 성과가 날지 모르겠다'며 뜬 구름을 찾아 정신줄을 놓아 버리는 일도 잦다. 결국 마감이 있더라고 기존의 사이클만 짧아지거나 할뿐 좋은 방향으로 자연스레 전환되기란 힘든일인 셈이다.

2.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할일 중심으로 화제로 삼자
beta version을 먼저 만들자. 즉 시간이 날때, 아예 '하기 시작한 순간'에 가능한 일의 결과를 예측해서 가상본을 만들어 두어, 주관적이던 객관적이던 가이드로 삼고 조언을 구하고 수정도 하는 것이다. 사실 이런식으로 실패를 피할수도 있고, 뭔가 단계를 밟아간다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가능하다. 이 방법으로 만족할만한 성과가 생긴다면 '마감직전' 벼락치는 패턴이외의 바람직한 성공 체험을 하게되고, 단계별로 대비해가는 행동 패턴을 강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beta version마져도 부담스러운 왕찌질이의 경우에도 살길은 있다. no brainer도 착수 가능한 지점까지 task를 잘게 쪼개는 것이다. beta version을 가능한 작게 분할해서, 최후의 완성판과 최소한 지금 이룰수 있는 것에 무엇이 있는지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beta 판을 더욱 작게 나눈 다면, 우선 해결해야할 포인트를 잡아가는 것 다시말하면 interactive 하게 진행방향과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감이 먼 task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그 task와 대화해 나가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화제로 삼게 되면 당연 의식의 중심에 놓을수 있고, task의 reality를 느낄수 있단다. 이런식으로 task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없애고 motivation을 가지는 것이다.

3. 결론은 divide and conquer several times!

출처:

【시고타노】! - 「언제나 마감 직전(바로 곁)」의 악순환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hack

【시고타노】! -즉효성이 있는 심리 hack10선

,

일본 gtd 블로그중 하나인 lifehacking.jp의 저자가 프린스턴에서 만난 슈퍼컴퓨팅의 대가에게서 받은 소감 중 일부


대단히 천천히 한 손짓인데도 불구하고, 그러나 확실하게 리스트에 씌어져 있는 것을 위에서 잘 다루어 가는 이 사람은, 몇십만줄 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현재도 통괄하고 있는 프로젝트·매니저입니다. 과거 30년에 걸쳐, 이 연구 분야에서 톱 클래스의 실적을 자랑하는 인물입니다.그런 사람이 컴퓨터를 치는 스피드가 대단히 늦다고 하는 것은 매우 의외인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 대신, 확실하게 잘 다루어 가는 작업의 뒤에서,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까」라고 하는 사고가 풀 회전 하고 있는, 그런 인상이 있었습니다.

노란 노트 패드는 그런 그를 탈선시키지 않기 위해서 의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 것인가」의 리스트다고 하는 것이 보아서 예약했습니다. 실제로,그는 리스트에 씌어져 있는 이외는, 일체 실행하지 않았습니다 .

발견되지 않고 일단 포기한 파일을 「아, 저기이었을지도」라고 생각하기 시작했을 경우라도, 그 커맨드를 몰두하는 것이 아니고, 리스트에 그것이 가해져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리스트의 제일(가장)하까지 말한 바에서,「모든 타스크(task)가 완료하고 있다」의가 아니고 「완료하지 않은 것에 관계하는 아젠다가 세워 있다」라고 하는 상태이었다 의 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리스트의 안, 부정되지 않고 있는 것이, 다음 리스트에 가해져 가는 이유(번역)입니다. 단순해서, 액션만큼 뿌리 내린 리스트만들기의 본보기를 보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 것을,전부터 소개하고 있는 전설의 연구자의 선생님 에 이야기하면, 선생님은 빙긋 웃어서 「그는 항상 끝(앞)을 생각하고 있는 것」 일컬어졌습니다.

「보통 사람은 논문을 써, 일을 해,라고 생각하면 책상의 앞에 앉고나서 『지요, 무엇을 하는 것인가』라고 생각한다.그러나 그는 시작하기 전에서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나서, 그로부터 처음으로 손을 옮기는 것이지.어느쪽이 빠르다고 생각합니까? 」

「정말(과연)」이라고 선생님에게 대답하면서도 나는 저 노란 리걸 패드를 상기하고 있었습니다. 그 질문의 대답은, 천천히 움직이면서도 빠르게 진행시키는 비밀은, 저 노란 리걸 패드에 작은 문자로 써 두어 있는 것일 것이다. 그렇게 생각한 것이었습니다.

천천히 움직이지만 빠른 이유는 올바른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이겠지.

난 너무 쓸데 없는 동작이 많아. 그러면서도 빨리가려고 하니 시간만 걸릴밖에.

,

하루 한가지를 계속해서 일관성있게 유지 할수 있다면 그것 만으로도 달인이 될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lifehacking사이트인 【시고타노】! -1일 5분으로 효과적으로 반성하는 요령 를 읽고 난 후, 자기 성찰이던 아니더라도 효과적으로 몸에 붙이는 요령중 하나를 발견한것 같다.

- 그것만을 위한 시간을 만들자

- 너무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 <그것>을 하라

- 하지만, 내용보다는 양에 초점을 맞추어 할당량을 반드시 채운다.

일단 오늘 아침부터 시작했다. 목표는 한 달간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고고싱!

,